기중기운전기능사
페이지 정보
본문
자 격 명: 기중기운전기능사
관련부처: 국토교통부
시행기관: 한국산업인력공단
취득방법: ① 시 행 처 : 한국산업인력공단
② 시험과목 - 필기 : 1. 건설기계기관 2.전기, 섀시, 기중기작업장치 3. 유압일반 4. 건설기계관리법규 및 도로통행방법 5. 안전관리
- 실기 : 기중기운전작업 및 도로주행
③ 검정기준 - 필기 : 전과목 혼합, 객관식 60문항 (60분)
- 실기 : 작업형 (기계식 : 8분 정도, 유압식 : 6분 정도)
④ 합격기준 - 필기 :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
- 실기 :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
** 기본개요
기중기는 작업장치인 붐(boom)과 훅(hook)에 의해 중량물을 인양 및 운반하는 건설기계이며, 공장이나 건설현장에서 흔히 자재 등을 운반하는 기계이며, 건설 및 유통구조가 대형화되고 기계화되면서 각종 건설공사, 항만 또는 생산작업 현장에서 기중기 등 운반용 건설 기계가 많이 사용됨에 따라 고성능 기종의 운반용 건설기계의 개발과 더불어 기중기의 안전운행, 기계수명 연장 및 작업능률 제고를 위한 숙련기능인력의 양성을 위하여 기중기운전기능사 자격제도가 제정됨
** 수행직무
대형 건설작업현장, 토목공사현장, 항만하역현장, 운송 및 창고업체현장 건설기계 임대 업체 현장 등에서 과중량 화물을 인양하여 상하 또는 좌우로 위치를 이동시키는 작업 을 수행하는 기중기를 운전하는 업무 수행
** 진로와 전망
주로 건설업체, 건설기계 대여업체, 건설기계 제조업체, 부품판매업체, 정비업체 등으 로 진출할 수 있다. - 운반용 건설기계는 주로 건설 및 제조분야에서 많이 활용되지만, 그 밖의 산업부문에 서도 활용되고 있어, 건설업, 제조업 및 산업전반의 경기 변동에 민감하게 반응하게 된다. 고속철도, 신공항 건설 등의 활성화와 민간부문의 주택건설증가, 경제발전에 따른 건설촉진 등에 의하여 꾸준히 발전할 전망이다.
관련부처: 국토교통부
시행기관: 한국산업인력공단
취득방법: ① 시 행 처 : 한국산업인력공단
② 시험과목 - 필기 : 1. 건설기계기관 2.전기, 섀시, 기중기작업장치 3. 유압일반 4. 건설기계관리법규 및 도로통행방법 5. 안전관리
- 실기 : 기중기운전작업 및 도로주행
③ 검정기준 - 필기 : 전과목 혼합, 객관식 60문항 (60분)
- 실기 : 작업형 (기계식 : 8분 정도, 유압식 : 6분 정도)
④ 합격기준 - 필기 :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
- 실기 :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
** 기본개요
기중기는 작업장치인 붐(boom)과 훅(hook)에 의해 중량물을 인양 및 운반하는 건설기계이며, 공장이나 건설현장에서 흔히 자재 등을 운반하는 기계이며, 건설 및 유통구조가 대형화되고 기계화되면서 각종 건설공사, 항만 또는 생산작업 현장에서 기중기 등 운반용 건설 기계가 많이 사용됨에 따라 고성능 기종의 운반용 건설기계의 개발과 더불어 기중기의 안전운행, 기계수명 연장 및 작업능률 제고를 위한 숙련기능인력의 양성을 위하여 기중기운전기능사 자격제도가 제정됨
** 수행직무
대형 건설작업현장, 토목공사현장, 항만하역현장, 운송 및 창고업체현장 건설기계 임대 업체 현장 등에서 과중량 화물을 인양하여 상하 또는 좌우로 위치를 이동시키는 작업 을 수행하는 기중기를 운전하는 업무 수행
** 진로와 전망
주로 건설업체, 건설기계 대여업체, 건설기계 제조업체, 부품판매업체, 정비업체 등으 로 진출할 수 있다. - 운반용 건설기계는 주로 건설 및 제조분야에서 많이 활용되지만, 그 밖의 산업부문에 서도 활용되고 있어, 건설업, 제조업 및 산업전반의 경기 변동에 민감하게 반응하게 된다. 고속철도, 신공항 건설 등의 활성화와 민간부문의 주택건설증가, 경제발전에 따른 건설촉진 등에 의하여 꾸준히 발전할 전망이다.
- 이전글소형건설기계(3톤미만 굴착기) 22.04.05
- 다음글로더운전기능사 22.04.05